||||공동육아를 한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행복한 일이다. 그리고 아이뿐만
아니라 아마도 역시 행복한 일이다.
나는 공동육아를 하는 아빠다. 공동육아가 인정한다. 그리고 육아형태에 대해서 만족한다. 하지만 특히 우리 서현이처럼 2%부족한 아이(늦된아이)의 경우에는 또다르다고 본다. 특별한 지도방식이 필요하고 일반적인 아이처럼 동일하게 접근할수 없는 측면이 분명이 존재하는 아이들에게는 과연 적절한 방식인지에 대해서는 자신이 없다..
모두가 제각기 사연이 있겠지만 나는 공동육아의 정신, 즉 공동의 가치, 개인주의적인 교육보다는 자연친화적이며 공동체를 위해 자라나는 아이로 내 아이가 클 수 있다면 참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정말 단순하게 서현이 때문에 공동육아를 선택했다. 이렇게 말하는 까닭은 내 자신이 사실 공동육아를 할 수 있는 기본자세를 갖고 있지 않았었기 때문이다.
늘 느끼는 것이지만 공동육아가 내겐 큰 부담이다. 그러나 공동육아의 각종 의무가 사실 3자녀의 부모로서 많은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공동육아는 무수히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이사회 구성원이 되면 더 많다. 터전청소, 아마, MT, 방모임, 등등..
그러나 서현이를 포함한 공동육아 아이들 때문에 부담이 되더라도 해야하고, 그 의무에 대해 즐거운 마음으로 임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실제로 작은 보람을 느끼기도 한다.
공동육아는 부모가 아이의 가장 중요한 육아 담당자라는 아무도 부인할 수 없는 점을 내세우며 여러가지 의무사항들을 만들어 놓았다. 아니 만들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사실 이땅에서 공동육아를 하는 부모들은 적어도 시간이면 시간, 돈이면 돈, 어떤 하나라도 남보다는 조금 여유가 있어야 가능하다. 그런데 내 아이를 잘 키우 싶은 마음이야 모든 부모들의 공통의 마음 아니겠는가? 모두가 마음만으로 공동육아를 할 수 있다면 왜 안하겠는가?
나는 서현이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육아방법 및 장소를 위해 나는 찾고 또 찾아서 가야한다. 과연 현 공동육아 방식이 특히, 각종 프로그램, 선생님의 지도방식이 서현이에게 큰 도움이 되는것인지, 아니면 오히려 일반유치원이 서현이에게 더 적합하고 도움이 더 될것인지에 대해서는 항상 물음표이다. 분명히 서현이는 현재 일반아이들에 비해 늦된 아이다. 혼자놀기 좋아하고, 친구들과 잘어울려 놀지 못하고, 혼자 중얼거림이 있고, 혼자 책보고, 혼자 인형 놀이하고, 상대방의 이야기에 귀기울이지 않고 - - - .
그렇기 때문에 서현이 경우에는 좀 더 엄하고, 확실하고, 체계적인 방식이 필요하다.
모든 공동육아의 장점의 포기하고 과연, 우리아이에게 좀 더 도움이 되는 일반유치원을 찾는 것이 옳은것인지 그리고 과연 찾을수 있을까 ?
특히 내가 공동육아 방식중 먹걸이, 나들이 등 우리가 어릴때 경험했던 우수한 문화를 계속해서 이어가려는 전통적인 사고를 장점으로 생각한다. 특히, 마실문화, 우리아이에게는 마실문화의 필요성이 더욱더 필요한게 사실이다. 신입 조합원 시절에 줄기차게 문제화 시켰고 이에 대해서 요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아이가 경험한 마실은 초대한게 전부였다는 것이다. 오히려 예전에 알고 지내던 친구집에 가고 초대하고 하는 것이 좀 더 자연스럽다는 것이 나를 씁쓸하게 만들고 있다.
나는 나의 아이보다는 우리 아이라는 의식으로 통통아이들에 대해 접근하려고 노력했고 또 하고 있다. 물론 아마 모두들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내가 느낀 점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내가 참여하고 있는 현공동육아에서 서현이에게 좀 더 도움이 되는 방식을 찾기 힘들다면 다른 방식(외부)의 접근을 생각해 볼 시점이 되지 않았나 보는 것이다. 믈론 많은 점들에서 서현이는 바꿔가고 있고 좋아지고 있다. 서슴럼없이 아마들에게 안기고 뽀뽀하고 어느정도 친구들과 어울려 놀기도 하고 - - - . 하지만 - - - .
모두가 잠던 한밤중에 토끼와 언성을 높혀 가며 우리아이에게 필요한게 무엇이며, 우리가 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격론을 펼쳤지만 결론은 아직 - - - .
현 통통공동육아협동조합 - - - .
아니라 아마도 역시 행복한 일이다.
나는 공동육아를 하는 아빠다. 공동육아가 인정한다. 그리고 육아형태에 대해서 만족한다. 하지만 특히 우리 서현이처럼 2%부족한 아이(늦된아이)의 경우에는 또다르다고 본다. 특별한 지도방식이 필요하고 일반적인 아이처럼 동일하게 접근할수 없는 측면이 분명이 존재하는 아이들에게는 과연 적절한 방식인지에 대해서는 자신이 없다..
모두가 제각기 사연이 있겠지만 나는 공동육아의 정신, 즉 공동의 가치, 개인주의적인 교육보다는 자연친화적이며 공동체를 위해 자라나는 아이로 내 아이가 클 수 있다면 참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정말 단순하게 서현이 때문에 공동육아를 선택했다. 이렇게 말하는 까닭은 내 자신이 사실 공동육아를 할 수 있는 기본자세를 갖고 있지 않았었기 때문이다.
늘 느끼는 것이지만 공동육아가 내겐 큰 부담이다. 그러나 공동육아의 각종 의무가 사실 3자녀의 부모로서 많은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공동육아는 무수히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이사회 구성원이 되면 더 많다. 터전청소, 아마, MT, 방모임, 등등..
그러나 서현이를 포함한 공동육아 아이들 때문에 부담이 되더라도 해야하고, 그 의무에 대해 즐거운 마음으로 임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실제로 작은 보람을 느끼기도 한다.
공동육아는 부모가 아이의 가장 중요한 육아 담당자라는 아무도 부인할 수 없는 점을 내세우며 여러가지 의무사항들을 만들어 놓았다. 아니 만들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사실 이땅에서 공동육아를 하는 부모들은 적어도 시간이면 시간, 돈이면 돈, 어떤 하나라도 남보다는 조금 여유가 있어야 가능하다. 그런데 내 아이를 잘 키우 싶은 마음이야 모든 부모들의 공통의 마음 아니겠는가? 모두가 마음만으로 공동육아를 할 수 있다면 왜 안하겠는가?
나는 서현이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육아방법 및 장소를 위해 나는 찾고 또 찾아서 가야한다. 과연 현 공동육아 방식이 특히, 각종 프로그램, 선생님의 지도방식이 서현이에게 큰 도움이 되는것인지, 아니면 오히려 일반유치원이 서현이에게 더 적합하고 도움이 더 될것인지에 대해서는 항상 물음표이다. 분명히 서현이는 현재 일반아이들에 비해 늦된 아이다. 혼자놀기 좋아하고, 친구들과 잘어울려 놀지 못하고, 혼자 중얼거림이 있고, 혼자 책보고, 혼자 인형 놀이하고, 상대방의 이야기에 귀기울이지 않고 - - - .
그렇기 때문에 서현이 경우에는 좀 더 엄하고, 확실하고, 체계적인 방식이 필요하다.
모든 공동육아의 장점의 포기하고 과연, 우리아이에게 좀 더 도움이 되는 일반유치원을 찾는 것이 옳은것인지 그리고 과연 찾을수 있을까 ?
특히 내가 공동육아 방식중 먹걸이, 나들이 등 우리가 어릴때 경험했던 우수한 문화를 계속해서 이어가려는 전통적인 사고를 장점으로 생각한다. 특히, 마실문화, 우리아이에게는 마실문화의 필요성이 더욱더 필요한게 사실이다. 신입 조합원 시절에 줄기차게 문제화 시켰고 이에 대해서 요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아이가 경험한 마실은 초대한게 전부였다는 것이다. 오히려 예전에 알고 지내던 친구집에 가고 초대하고 하는 것이 좀 더 자연스럽다는 것이 나를 씁쓸하게 만들고 있다.
나는 나의 아이보다는 우리 아이라는 의식으로 통통아이들에 대해 접근하려고 노력했고 또 하고 있다. 물론 아마 모두들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내가 느낀 점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내가 참여하고 있는 현공동육아에서 서현이에게 좀 더 도움이 되는 방식을 찾기 힘들다면 다른 방식(외부)의 접근을 생각해 볼 시점이 되지 않았나 보는 것이다. 믈론 많은 점들에서 서현이는 바꿔가고 있고 좋아지고 있다. 서슴럼없이 아마들에게 안기고 뽀뽀하고 어느정도 친구들과 어울려 놀기도 하고 - - - . 하지만 - - - .
모두가 잠던 한밤중에 토끼와 언성을 높혀 가며 우리아이에게 필요한게 무엇이며, 우리가 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격론을 펼쳤지만 결론은 아직 - - - .
현 통통공동육아협동조합 - - - .
솔직히 고백하자면, 작은 공동체운동을 한다고 머리로는 생각하면서도
가슴한켠은 내 아이의 행복이 먼저인게 사실입니다.
재작년 보금이가 통통에서 힘들어할때 결국 등원유예를 결정하고 나서도,
두어번 더 터전청소를 했습니다.
근데, 청소를 하면서 전혀 즐겁지도 않고 아쉬움만 쌓이더군요.
이 공간에서 내아이가 행복하고 그리하여 우리가족 모두가 행복해면 좋을텐데..
내아이가 행복해하지 않으니 저나 메기도....
당근과 토끼을 십분 이해하면서도 통통안에서 뚜렷한 해결방안이 떠오르지 않음에 답답한 마음입니다. 아이가 자라고 커가는 것이, 우리가 함께하는 공동체운동이라는 것이 조금씩 천천히 이루어지는 것임에 어짜피 획기적인 해결방안이 있을 수 없겠지요.
다만,
저나 메기, 통통식구들 모두 서현이, 선유, 세은이, 토끼, 당근을 응원하고 사랑한다는 겁니다.
힘내십시오. 당근, 토끼!